Github에 repository에 소스코드를 올리거나 원격서버에 접속할 때 불편하게 매번 비번을 치기 귀찮을 때 사용하는 SSH. 이미 구글링하면 비슷한 설명들이 자세하게 잘 되어있다. 동영상으로 깔끔하게 설명해주신 이고잉님의 생활코딩 사이트를 참조하면 된다. 1
여기에서는 원격서버에 내 공개키를 등록하는 커맨드들을 리뷰용으로 적어둔다.
첫 번째 방법
1 |
scp $HOME/.ssh/id_rsa.pub (원격서버 유저명)@(원격서버 IP주소 혹은 도메인):id_rsa.pub |
scp 명령으로 내 컴퓨터에 있는 공개키를 원격서버에 보낸다 “:”뒤는 경로 설정인데 기본적으로 유저의 Home 폴더로 설정되어 있다.
1 2 3 |
ssh (원격서버 유저명)@(원격서버 IP주소 혹은 도메인) mkdir $HOME/.ssh chmod 700 ./.ssh |
ssh로 일단 원격서버에 접속 후 .ssh 폴더 생성하고 보안을 위해 권한 설정을 변경한다.
1 |
cat $HOME/id_rsa.pub >> $HOME/.ssh/authorized_keys |
위에서 scp로 복사한 공개키를 authorized_keys에 append한다. 끝
두 번째 방법 2
1 |
ssh-copy-id (원격서버 유저명)@(원격서버 IP 혹은 도메인) |
이거 한 줄이면 첫 번째 방법이 한번에 된다. 삽질을 한 것인가;; 다만 맥 사용자는 ssh-copy-id 명령어를 제공 안 하기 때문에 설치를 해야 한다. 3
Notes:
- http://opentutorials.org/module/432/3742 ↩
- 전문가를 위한 10년 활용 리눅스 시스템 책에서 봤다. ↩
- http://www.jacobtomlinson.co.uk/2013/01/24/ssh-copy-id-os-x/ ↩